
2018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전시장 전경
올해로 16회를 맞는 2019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는 국내 최대 태양광·ESS·재생에너지전문전시회로 오는 4월 3~5일까지 3일간 대구EXCO에서 개최된다.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한국 태양광산업협회, 한국풍력산업협회, 한국수소산업협회 등 신재생 에너지분야 주요 4대 협회와 국내 최고 권위의 전기공사단체인 한국전기공사협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는 PV Korea 2019, ESS Korea 2019, Renewables Korea 2019 등 3개 전시회로 구성돼 있다. 27개국에서 300개사가 참가할 예정인 2019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는 태양광,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에 이르기까지 글로벌 리딩기업들의 혁신적 기술과 첨단 신제품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중국의 시장조사기관 PV InfoLink(인포링크)는 ‘2019년 세계 태양광 발전산업 5대 트렌드’분석을 통해 2018년 88GW까지 떨어진 글로벌 수요가 2019년에는 112GW 수준까지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제13차 5개년 계획’을 수정함으로써 도입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 용량이 증가한데 더해 인도와 미국에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PV InfoLink는 덧붙였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신·재생 에너지 정책 추진이 확대되는 동시에 지구 온난화 방지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면서 최근 태양광 및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특히 태양광 발전은 청정에너지로 인식되면서 화석연료 및 원전을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미 미국, 독일, 일본 및 중국, 인도 등에서 태양광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관련 업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 지고 있다.
특히, 태양광 모듈 관련 글로벌 1위 업체와 10위 업체 간 생산용량차이가 4GW 이상 벌어지면서 태양광 모듈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한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세계 최고 태양광 권위지인 PV Magazine의 발표(2016년~2018년기준)에 따르면, 국내기업으로는 한화큐셀사가 태양전지 생산규모 세계 1위를 기록, 현대중공업그린에너지, LG전자도 상위권에 포진해 있다(PV Magazine, 2018.3월). 글로벌 Big 2(중국, 미국) 시장 수요가 여전히 견고하며 인도, 터키 등 신흥 시장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세계 태양광 시장은 제2차 성장기에 진입할 전망이다.
2019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가 태양광, ESS 및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의 수익창출과 국내외 시장 개척의 전초기지가 되면서 전시회 위상만큼이나 해외 글로벌 업체들의 참가 열기도 뜨거워지고 있다. 특히 이번 엑스포에서는 국내외 기술선도기업에서부터 혁신적 기술을 확보한 중소·중견기업에 이르기까지 일찌감치 참가를 완료하고 전시홍보마케팅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특히 이번 엑스포에서는 최고효율의 태양전지에서부터 최첨단 기술이 적용된 여러 형태의 태양광 모듈, 최근 수요가 증가하는 ESS(에너지저장시스템)에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인버터 등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제품을 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개막 2주를 앞두고 벌써부터 전시회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특명실상부한 ‘에너지 비즈니스 마케팅 플레이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그린에너지엑스포에서는 국내 최대 규모의 컨퍼런스와 수출상담회가 전시기간 중 개최된다. 전시사무국은 이를 통해 참가업체의 비즈니스 마케팅 활동 다각화는 물론, 동분야 산업 및 기술 정보교류와 수요-공급기업간 네트워크 구축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한편, 2019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는 급변하는 태양광 및 신재생에너지 산업 및 시장 활성화에 기여하고, 관련 정보 교류 및 네트워크 구축의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산업트렌드, 참가업체 및 출품제품정보, 전시회 참관 정보 등을 시리즈로 기획해 제공할 계획이다.
출처 : 경상매일신문 / 이태헌기자
|